본문 바로가기

창작물 & 창조적 글쓰기

한국 야구 '역전의 코드', 일본 꼼수 무너뜨리다

 

(이대호는 힘만을 앞세우는 홈런 타자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교타자다. 사진 출처 및 권리= SBS)

 

[왜 꼼수는 결국 정의 앞에 굴복할까]

[역대급 역전승을 일군 한국 야구의 침착함]

 

역사는 많은 부분 정신의 문제에 지배를 받는다.

 

남과 북이 갈린 한반도의 분단부터 최근의 프랑스 테러까지, 결국은 인간이 스스로 생각하고 믿는 어떤 이념이나 정신에 의해 결과가 이루어졌다.

 

역사는 승자도 탄생시켰고 패자도 만들었다. 그런데 많은 역사가나 전쟁 이론가들은 그 과정에서 독특한 특징 하나를 지적한다. 바로 상대의 정신에 영향을 줄만한 자극을 절대로 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쉽게 이길 것 같은 강자가 약자의 놀라운 정신력에 밀려 패하는 역사는 수차례 일어났다. 그래서 마키아벨리나 발타자르 그라시안이 한 목소리로 내가 맞설 상대를 자극해 그들의 정신력을 높이는 것만큼 어리석은 것은 없다고 말한 것에는 이유가 있었다. 정신력은 승부를 뒤집는 역전의 코드를 만들기 때문이다.

 

한일전 야구의 역사를 바라보면 이점을 느낄 수 있다. 일본 야구가 한국 야구 저변과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앞서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프로야구 역사만 80년이다. 고교야구팀도 무려 4,000개가 넘는다. 우리는 고작 60개 팀이다. 야구 인력의 선택 풀에서 게임이 안 된다.

 

그런데 참 이상하다. 대표팀간 경기에서 한국 야구는 일본 야구에 전혀 밀리지 않는다. 프로선수가 국제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한 1998년부터 201511월 프리미어12 준결승전까지 한국은 일본과의 맞대결에서 총 41경기 2021패로 호각세를 보였다. 하지만 자국리그 올스타 선수 이상이 나와 맞붙었던 대회 및 경기에서는 오히려 98패로 앞서는 등 오히려 우리의 기억 안에 자리 잡은 극적인 승리는 더 많다.

 

이 같은 한일전 야구의 역사, 우리의 드라마틱한 승리는 왜 자꾸 반복될까.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것은 일본은 중요한 경기마다 그에 앞서 한국을 자극해 선수들의 정신력 향상과 강화에 중요한 상승효과를 일으켰다는 점이다. 일본이 한국을 자극한 방법은 대부분 꼼수나 도발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그 꼼수나 도발을 역전의 코드로써 그라운드에서 그대로 되갚아줬다.

 

 

(사진 출처 및 권리= 경향신문)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와 한대화의 역전 3점 홈런이 터진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 대회를 보자. 그때 일본은 역사 교과서를 왜곡해 한국의 독립투사들을 비하했다. 국가적 사안으로 비화될 만큼 대립이 극에 달했다. 당시 한국 야구팬들은 잠실구장 앞에서 일본 역사 교과서를 불태우기도 했다. 선동열을 포함해 선수들도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경기였고 한국은 이겼다. 7회까지 0-2로 끌려가던 경기를 8회말에 뒤집었다.

 

2006WBC대회에서는 그 유명한 스즈키 이치로의 ‘30년 발언이 나왔다. “한국이 앞으로 일본을 30년 동안 이길 수 없다는 생각을 갖도록 하겠다는 아주 창의적인 멘트였다. 이 발언의 진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하지만 이치로가 한국야구를 무시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이치로의 발언으로 도리어 하나가 된 한국 선수들은 30년 발언의 시효를 불과 3일로 만들어버렸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감독까지 나섰다. 당시 일본 대표팀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은 목에 기브스를 하고 다니는 것처럼 고압적인 자세와 하늘을 찌를 것 같은 자만심으로 ‘한국4번 타자이승엽과 당시 대표팀 김경문 감독을 싸잡아 아래와 같이 조롱했다.

 

이승엽이 누구냐? 제대로 치지도 못하고 있는 타자를 4번에 계속 두고 있다니 대단하다.”

 

그 발언이 있고 며칠 뒤 이승엽은 일본전에서 통쾌한 역전 홈런으로 되돌려주며 호시노는 일본 언론으로부터 톡톡히 망신을 당했다.

 

(사진 출처 및 권리= KBS)

 

2015WBSC 프리미어12 준결승전을 앞둔 한국대표팀의 상황도 다르지 않았다.

 

일본은 또 한국을 자극했다. 이번에는 경기 일정을 마음대로 바꾸며 잠을 안 재웠다. 한국대표팀은 새벽430분에 비행기로 출발하기 위해 새벽3시에 일어났다.

 

이게 도대체 말이 되는 행동인가. 선수들의 정상 컨디션을 고려하지 않고 국제 대회 일정을 이런 식으로 잡는 것은 가히 넌센스였다. 잠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이다. 잠을 재우지 않는 것은 일제 강점기에서 독립투사들을 고문하기 위해 썼던 방법인데 그와 유사한 추태가 21세기 야구판에 버젓이 벌어진 것이다.

 

언론을 통해 TV 화면에 비친 이동하는 한국선수들의 모습은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심지어 비몽사몽간에 눈도 제대로 뜨지 못하는 선수도 있었다. 이대호는 태어나서 새벽 4시에 이동한 적은 처음이다고 밝혔다. 그때 공항으로 묵묵히 이동하는 선수들의 생각에는 무엇이 자리 잡았을까.

 

준결승전 좌선심을 일본 심판 가와구치 고우타로 배정한 것도 코미디였다. 해당 경기 국가와 동일 국적의 심판은 잠재적 이해관계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심판으로 배정하지 않는 것은 국제대회에서 상식 중의 상식이다.

 

이것은 작은 부분이 절대 아니다. 만약 승부에 매우 중요한 타구가 좌측 라인 10cm 바깥에 떨어진 파울인데, 정말로 일본 심판이 목적을 갖고 페어로 선언하면 그때는 어떻게 되는가. 야구의 타구는 언제, 어떻게 떨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이번 대회는 카메라 판독이나 심판 합의 판정도 없다. 선언하면 그냥 끝이다. 꼼수도 이런 하찮은 꼼수가 없다.

 

(사진 출처 및 권리= SBS)

 

그러나 그동안 한국 야구가 보여준 응전의 역사, 역전의 코드는 준결승전 0-3으로 뒤진 9회초 이런 모든 일본의 꼼수를 무너뜨렸다.

 

SBS 정우영 캐스터가 9회초를 앞두고 요기 베라의 말을 빌려 야구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그 평범한 멘트를 다시 듣는 순간 뭔가 허언처럼 다가오지 않았다. 8회말 실점위기에서 임창민이 요미우리의 간판 사카모토 하야토를 삼진으로 잡는 순간이 중요한 반격 포인트였다.

 

이어진 9회초 한국 선수단에게서 발견한 가장 큰 특징은 '침착함'이었다. 3점차 열세에서 어떻게든 이기겠다는 코너에 몰린 절박함보다는 너무나 의연한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선두타자로서 안타를 치고 나간 오재원부터 연속 안타로 기회를 이어준 손아섭, 적시 2루타를 친 정근우는 노리모토 다카히로의 직구를 버리고 공통적으로 변화구를 빠른 카운트에서 결대로 받아쳐 출루했다.

 

만루를 만든 이용규와 밀어내기를 이끈 김현수 역시 마찬가지였다. 일본의 유인구에 말려들지 않고 슬기롭게 유리한 볼카운트를 이끌어내 볼넷으로 진루했다. 당황하거나 조급한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역전타를 친 이대호 역시 무리한 스윙을 하지 않았다. 팀의 4번 타자라면 여기서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에 크게 스윙하다 자칫 병살타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조선의 4번 타자이대호는 장타보다 컨택에 치중하는 영리한 타격으로 마스이 히로토시를 상대로 기어코 결승 안타를 쳐내 도쿄돔을 패닉으로 만들어버렸다.

 

투수들 역시 선방했다. 차우찬, 정우람, 임창민, 정대현, 이현승 등 대표팀의 중간과 뒷문은 일본 타자들도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다. 신기에 가까운 연속적인 대타 성공과 상대의 흐름을 요소마다 잘라내는 효과적인 투수 교체를 보여준 김인식 감독과 선동열 투수 코치 등 벤치의 작전도 빛을 발했다. 선수단 전원의 케미스트리가 하나로 모여 폭발한 역대급 역전승, 9회의 기적이 펼쳐졌다.

 

(사진 출처 및 권리= SBS)

 

이번 준결승전 승리를 통해 새삼 이승엽이 평소 자주 이야기하던 우리 야구가 저변은 일본에 약하지만 대표팀끼리 모인 경기에서는 절대 뒤지지 않는다는 말이 다시 떠올랐다.

 

오타니 쇼헤이라는 걸출한 투수 한 명을 공략하지 못한 것은 앞으로도 과제를 남겼다. 우리 타자들은 국내 리그에서 직구 160km와 포크볼 149km를 던지는 투수를 상대해보지 못했고 결국 오타니에게 두 번 당했다. 그러나 야구는 적응의 스포츠다. 안경현 해설위원의 지적처럼 일본도 오타니를 리그에서 자주 상대하기 때문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이나 쿠바 타자들이 정대현의 생소한 공을 치지 못하는 것과 똑같다.

 

야구가 혼자 하는 스포츠가 아니라는 관점에서도 준결승전 한국의 승리는 희망적이다. 오타니를 제외하고 일본의 어떤 투수가 올라와도 대표팀은 공략할 수 있다는 것, 3점의 열세에도 일본이 자랑하는 마무리 투수들을 집단적으로 쩔쩔매게 하며 한 이닝에도 4점을 뽑고 역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사실은 개막전 일본에 0-5로 패한 경기에서 이미 조짐이 있었다. 당시 경기에서 한국은 오타니가 내려가고 7회부터 똑같이 노리모토와 마츠이 유키를 상대하며 3이닝 동안 5안타를 쳤다. 8회초 2사 만루, 9회초에는 판박이처럼 거의 똑같이 연속 3안타로 무사 만루까지 만들었다. 준결승전처럼 한 두 개의 적시타가 나오지 않았을 뿐이다.

 

만약 프리미어12 멤버 그대로 한국과 일본이 74선승제의 단기전을 치른다고 가정해보자. 과연 그때도 일본야구가 한국을 쉽게 이긴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스포츠가 애국심을 대표하는 내셔널리즘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21세기에는 다소 손발이 오그라든다. 스포츠는 스포츠일 뿐이다. 하지만 묘하다. 야구가 됐든, 축구가 됐든 우리 대표팀이 일본대표팀에 패하는 것은 다른 팀에 지는 것 보다 싫다. 반대로 이기면 기분이 더 좋다.

 

단순히 나는 한국인이다라는 문제를 넘어 내가 즐겨보는 리그, 그 안에서 내가 응원하는 선수들을 향한 믿음, 그래서 그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이겼을 때 요즘 유행하는 단어 나의 자존감을 투영해 확인시켜주는 것에서 더 큰 이유를 찾고 싶다.

 

(9회초 노리모토 다카히로의 침울한 얼굴, 사진 출처 및 권리= SBS)

 

일본야구는 경기가 끝나고도 신사답지 못했다. 대표팀 감독 고쿠보 히로키가 굉장히 억울하단 생각이 든다. 그 한마디가 전부를 나타낸다는 인터뷰를 남겼기 때문이다.

 

도대체 뭐가 억울하다는 것일까. 정확하게 일본어로 현장에서 어떤 말이 쓰였는지, 분하다(しい 쿠야시)라는 용어가 사용됐는지 확인할 수 없다. 의미의 뉘앙스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억울하다는 말에는 사전적으로 대부분 언어권에서 ‘This is unfair’ ‘이것은 공정하지 않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이렇게 오해를 부를 수 있는 대표팀 수장의 발언이 또 한 번 우리를 건드린다. 이미 많은 한국의 네티즌들이 고쿠보 감독의 발언에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게 프리미어12 대회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야구를 정식 종목으로 채택하기 위한 발판이었다. 그 자체는 야구팬으로서 환영할 만한 일이었다. 하지만 대회 운영과 일정 등 여러 가지에서 일본은 한국을 자극했고 대회를 오로지 자국에서 우승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는 꼼수가 누가 봐도 훤히 보였다.

 

정말로 일본에게는 모든 것이 누가 봐도 좋은 기회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작가 야마사키 도요코의 작품이자 국내에도 드라마로 방영됐던 <하얀거탑>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누가 봐도 좋은 기회라는 건, 말 그대로 누가 봤기 때문에 절대 좋은 기회가 아니다.”

 

By ThinkTanker (Copyrightⓒ. <창조의 재료탱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불법 퍼가기,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