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작물 & 창조적 글쓰기

이진아 음악과 창조물의 보편성

 

(사진: 이진아(왼쪽, SBS), 포드사의 에드셀)

 

 

[포드 에드셀, 송승환 뮤지컬 난타, 우모자...그리고 이진아 일본팬?의 관계]

 

크리에이터는 한 가지 딜레마가 있다.

 

자신이 만든 창조물, 크리에이션에 관련된 딜레마다.

 

창조물이 되기 위해서는 뭔가 새로워야 한다. 튀어야 한다. 그런데 또 너무 새롭고 튀면 사람들에게 외면을 받는다.

 

대표적인 사례가 포드사의 자동차 에드셀이다. 이 자동차는 포드의 야심작이었다. 195725천만 달러를 투입해 최첨단 기술을 접목했다. 광고비도 3,000만 달러를 쏟아 부었다. 장밋빛 미래가 보장되는 혁신적 자동차가 될 것 같았다.

 

하지만 보편성이 없었다. 기묘한 디자인 때문이었다. 아무리 기술이 첨단이어도 사람들은 이 외관이 이상한 자동차 안에 들어가 운전대를 잡고 싶어 하지 않았다. 에드셀은 결국 단명했다.

 

창조물은 에드셀처럼 일단 혁신성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적절히 새로워야 한다. 수용할 수 있는 수위를 지켜야 한다. 그런데 그 지점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창조물이 혁신성과 보편성을 함께 보유하기 힘든 이유이며 동시에 크리에이터의 딜레마다.

 

 

국내에서 만들어진 창조물 가운데 세계적인 보편성을 갖춰 성공한 대표적 사례가 뮤지컬 <난타>. 난타는 1997년 초연한 이래 지난해까지 한국 공연 최초로 1,0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으며, 51개국 289개 도시에서 총 31,290회 공연됐다. 한국 전통가락인 사물놀이 장단을 바탕으로 한 국내 첫 비언어극임에도 해외 팬들도 환호를 보낼 만큼 크게 성공했다.

 

그런데 난타에서 싱크탱커가 가장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멘트가 있다. 뮤지컬 <난타>를 제작한 송승환이 10여 년 전 과거 방송에서 했던 이야기에서 비롯됐다.

 

송승환은 난타를 처음 해외에 알리기 위해 90년대 말 세계 최대의 공연예술축제인 영국 에딘버러 프린지에 작품을 출품시켰다. 난타를 알아보는 관계자는 없었다. 초기에는 완전히 외면 받았다. 그때 에딘버러 프린지 관계자 중 한 명은 송승환에게 이렇게 되물었다.

 

한국? 한국에서도 뮤지컬을 하나요?”

 

송승환도 충격이었지만, 방송을 본 나도 충격이었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당시 한국의 인지도와 문화 수준에 대한 세계적 인식이 이 정도라는 사실이 첫 번째, 세계의 문화는 얼마나 다양한가라는 자문이 두 번째였다. 내게 충격의 강도는 두 번째가 더 컸다.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아는 문화는 극히 제한적이다. 당신은 트리니다드토바고의 영화를 본 적이 있는가? 당신은 리비아나 앙골라의 뮤지컬을 본 적이 있는가.

 

역의 논리도 성립한다. 트리니다드토바고 사람들이 한국영화의 고전 <서편제>를 보거나, 리비아 사람이 한국인이라면 모두가 아는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을 들었을 가능성은 거의 제로다. 거론할 수 있는 예는 무제한이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트리니다드토바고라는 나라는 정확히 어디에 붙어있는지도 알기 힘들다.

 

문화는 다양하고 세계는 넓다. 문화가 그만큼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이기는 매우 힘들다. 그래서 보편성과 혁신성을 갖춘 난타가 세계적으로 성공한 것은 박수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에딘버러 프린지 관계자가 한국에서도 뮤지컬을 하나요?”라는 질문을 나 역시 평소에 머릿속에 비슷하게 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아프리카 음악이었다. 아프리카 하면 우선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사자나 호랑이다. 음악은 전혀 떠오르지 않는다. 특히 아프리카가 뮤지컬을 한다는 것은 평소 생각할 수도 없었고 생각의 대상 자체가 아니었다. 이것을 깬 것이 뮤지컬 <우모자(UMOJA)>였다.

 

한국에 내한 공연했던 우모자를 본 것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매우 오래됐다. 자료를 보니 2003년과 2004, 2007년에 국내에서 공연했고 2013년 내한 10주년 기념공연을 할 정도로 한국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우모자는 특별했다. 아프리카 음악이 지루하고 귀에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무너뜨렸다. 기존의 브로드웨이나 웨스트엔드로 대표되는 미국이나 영국 뮤지컬과는 구성이나 음악적 느낌이 판이했다. 하지만 흥겨웠고 좋았다. 남아프리카인들의 삶의 자취를 담고 있는 이 뮤지컬은 한 편의 역사적 일대기를 그들만의 음악으로 훌륭하게 표현했다.

 

돌이켜보면 우모자가 아프리카 대표 뮤지컬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난타처럼 혁신성 외에 보편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모자가 만약 자신들만의 멜로디로 뮤지컬을 만들었다면 실패했을 것이다. 전 세계인 누구나가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의 접점이 있었기에 한국에서 4차례나 공연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보편성을 생각하던 중 어제 싱크탱커는 블로그 로그분석을 보다가 매우 특이한 유입 경로를 보게 되었다. 생소한 인터넷 주소였다. 구글의 번역 시스템을 통해 <창조의 재료탱크>로 유입된 주소였다.

 

유튜브의 경우 영상이기 때문에 해외에서도 조회수가 잡히는 것은 일반적이다. 그런데 블로그는 한글 텍스트다. 그래서 굳이 번역 시스템까지 쓰며 블로그에 유입된 것은 매우 특이했다. 해외의 현지 교민이 아닌 외국인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주소의 최종 포스팅을 따라가 보고 깜짝 놀랐다. 지난달 30일 포스팅한 <이진아와 큰 바위 얼굴>에 관한 글을 일본어로 번역한 로그주소였다.

 

해외에서도 외국인이 <창조의 재료탱크>를 찾아줬다는 사실이 기분이 나쁘지는 않았다. 그러나 동시에 얼굴이 화끈거렸다. 이 무슨 대단한 글을 썼다고 일본어로까지 번역해서 내 글을 읽었을까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니 나의 오판일 가능성이 높았다. , 나의 글과 내 블로그에 관심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이진아를 좋아하는 일본팬일 것이라는 추측이 더욱 설득력을 얻었다. 우연히 그 일본인은 한국 구글에서 이진아를 검색했고, 관련된 나의 포스팅이 검색되자 내용이 궁금해 일본어로 번역기를 돌렸을 거라는 확률이 커 보였다.

 

(사진: 이진아를 좋아하는 일본팬?)

 

물론, 이 일본인이 이진아 팬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개연성도 높다고 나는 판단했다. 동시에 다시 언급한 창조물의 보편성이 생각났다. 이 일본인이 이진아 팬이라면 이진아 음악이 일본인에게까지 사랑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진아 음악은 그동안 호불호(好不好)가 갈린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진아 팬인 싱크탱커는 물론 ()’의 그룹에 속하는 인간이다. 이진아의 자작곡은 들을수록 멜로디가 새롭다. 그런데 또 자꾸 듣게 된다. 이 비슷한 느낌을 외국인인 일본인도 느낄 수 있다면, 또 그래서 팬이 된다면 이진아 음악이 가진 창조물의 보편성을 일정 부분 설명해 줄 수 있지 않을까.

 

싱크탱커는 이 가능성을 믿고 있다. 오늘은 일단 논의를 여기서 마무리 하겠다.

 

이러한 이진아 음악의 특이성, 종합적으로 천재성에 관한 내용은 향후 이진아가 K팝스타에서 탈락하거나 우승하면 시간을 두고 그때 포스팅 할 것을 예고하겠다.

 

By ThinkTanker

 

 

내 마음 속 천재 이진아, 기억할게요